서울특별시는 양육공백이 발생한 가정을 대상으로 실질적인 양육 조력자를 지원하여 부모의 부담을 완화하고, 아이 키우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는 서울형 아이돌봄비 지원사업을 운영합니다.
📌 1. 지원 대상 및 선정 기준
✔ 지원 대상:
✅ 24~36개월 이하 영아가 있는 기준 중위소득 150% 이하 가정
✅ 양육공백이 발생한 가정
✔ 소득 기준:
✅ 중위소득 150% 이하 가정
✅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납부액(노인장기요양보험료 제외)을 기준으로 월평균 가구소득 금액 산정
✅ 맞벌이 가정은 부부 합산 소득의 25% 경감 적용
📅 2. 지원 내용
✔ 지원 금액:
✅ 월 30만 원
✔ 지원 방식:
✅ 월 40시간 이상 돌봄 활동 수행 후 지급
✔ 지원 유형:
✅ ① 친인척 육아 조력자: 월 30만 원 현금 지급
✅ ② 민간 돌봄 서비스 이용: 업체의 실적 보고에 따라 이용 비용 지급(월 30만 원 한도 내)
📌 3. 신청 방법 및 지급 절차
✔ 신청 방법:
✅ 온라인 신청: 몽땅정보 만능키 홈페이지
https://umppa.seoul.go.kr/hmpg/main.do
몽땅정보 만능키
umppa.seoul.go.kr
✔ 신청 기간:
✅ 매월 1일~15일 신청 가능 (23개월이 되는 달부터 신청 가능)
✔ 지원 절차:
1️⃣ 신청 접수 및 승인
2️⃣ 다음 달부터 돌봄 활동 개시
3️⃣ 월 40시간 이상 돌봄 활동 수행 후 지급
✔ 돌봄비 지급 방식:
✅ 현금 지급 (계좌 입금) 또는 민간 서비스 이용권 지원
⚡ 4. 지원 절차
✔ 1. 초기 상담 및 서비스 신청
✅ 지자체에서 서비스 신청을 접수
✔ 2. 대상자 통합조사 및 심사
✅ 신청자의 자격 요건을 조사하고 심사 진행
✔ 3. 대상자 확정
✅ 지자체에서 서비스 지급을 위한 대상자 결정
✔ 4. 이의 신청 접수
✅ 선정 결과에 이의가 있는 경우, 지자체에 이의 신청 가능
✔ 5. 서비스 지원
✅ 확정된 대상자에게 지원금 지급 또는 민간 돌봄 서비스 이용 지원
✔ 6. 서비스 사후 관리
✅ 서비스 제공 이후 가정의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추가 지원 필요 여부 검토
📞 5. 문의처
✔ 서울특별시 여성가족실 가족담당관: ☎️ 02-2133-6556
'얇고도 넒은 잡다한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애드센스 광고 게재 제한 2주만에 푼 과정 (0) | 2025.02.20 |
---|---|
2025년 농지연금 변경사항부터 신청방법까지 총정리 (0) | 2025.02.20 |
고령자 계속고용장려금과 고령자 고용지원금 (0) | 2025.02.17 |
국회의원 국민소환제: 개념부터 장단점까지 완벽 분석 (1) | 2025.02.13 |
고용24 천만 회원 돌파 기념 이벤트 (0) | 2025.02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