고령자의 고용 안정성을 높이고, 기업의 생산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마련된 두 가지 주요 지원 제도인 고령자 계속고용장려금과 고령자 고용지원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이 두 제도는 고령자의 경제활동 참여를 촉진하고, 기업의 인력 활용을 극대화하는데 기여합니다.
1. 고령자 계속고용장려금
개념
고령자 계속고용장려금은 기업이 정년에 도달한 근로자를 정년 이후에도 계속 고용할 수 있도록 장려하기 위한 제도입니다. 이 제도는 고령 근로자의 경험과 숙련도를 활용하여 기업의 생산성을 높이고, 고령자의 고용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.
지원 내용
- 금액: 고령자 계속고용장려금은 근로자 1인당 최대 1,080만원까지 지원되며, 지원 기간은 최대 3년입니다. 이 금액은 분기별로 지급됩니다.
- 지원 대상: 정년을 연장하거나 폐지하고, 재고용 제도를 도입한 중소기업 및 중견기업이 대상입니다.
신청 방법
- 온라인 신청: 고용24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.
- 오프라인 신청: 관할 고용센터를 방문하거나, 우편 및 FAX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.
- 신청 시기: 계속고용일로부터 1년 이내, 분기별로 신청이 가능합니다.
2. 고령자 고용지원금
개념
고령자 고용지원금은 60세 이상의 고령자를 신규로 채용하거나 기존 고용을 유지하는 사업주에게 지급되는 지원금입니다. 이 제도는 고령자 고용을 촉진하고, 고용 시장에서의 고령자의 비율을 높이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.
지원 내용
- 금액: 고령자 고용지원금은 증가한 고령 근로자 1인당 분기별로 30만원이 지원되며, 최대 2년 동안 지급됩니다. 즉, 총 240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.
- 지원 대상: 피보험기간이 1년을 초과한 60세 이상의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는 중소기업이나 중견기업의 사업주가 대상입니다.
신청 방법
- 온라인 신청: 고용24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.
- 오프라인 신청: 관할 고용센터에 직접 방문하거나 우편 및 FAX로도 신청할 수 있습니다.
- 신청 시기: 고용 증가가 있었던 분기의 다음달부터 신청할 수 있습니다.
차이점 정리
- 목적 및 지원 방식:
- 계속고용장려금은 정년 퇴직 후 계속 고용을 장려하는 데 중점을 두며, 고용지원금은 신규 고용을 장려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.
- 금액 및 지원 기간:
- 계속고용장려금은 1인당 최대 1,080만원, 지원 기간은 최대 3년입니다.
- 고용지원금은 분기별 30만원, 최대 240만원까지 지원됩니다.
- 대상 기업:
- 두 제도 모두 중소기업 및 중견기업이 지원 대상이지만, 계속고용장려금은 정년 연장 또는 폐지 등의 조건을 갖춰야 합니다.
상세 정보 및 참고 링크
고령자 계속고용장려금
- 신청서류: 사업자등록증, 고용계약서, 계속고용제도 도입 관련 서류(취업규칙, 단체협약 등).
- 신청 기한: 계속고용일로부터 1년 이내.
- 참고 링크: 고용24
고령자 고용지원금
- 신청서류: 사업자등록증, 고용계약서, 고용 증가 증명 서류.
- 신청 기한: 고용 증가가 있었던 분기의 다음달부터.
- 참고 링크: 고용24
이와 같은 정보를 바탕으로 각 제도의 신청 방법과 세부 내용을 숙지하여 고령자 고용에 대한 지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시길 바랍니다.
'얇고도 넒은 잡다한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 농지연금 변경사항부터 신청방법까지 총정리 (0) | 2025.02.20 |
---|---|
서울형 아이돌봄비 지원사업 기준 및 신청 방법 (1) | 2025.02.20 |
국회의원 국민소환제: 개념부터 장단점까지 완벽 분석 (1) | 2025.02.13 |
고용24 천만 회원 돌파 기념 이벤트 (0) | 2025.02.07 |
중국 전기차 BYD의 아토3 완벽 가이드 🚗 (0) | 2025.02.07 |